Sentence alignment for gv-kor-20110731-2472.xml (html) - gv-zhs-20110809-9631.xml (html)

#korzhs
1폴란드: 책 읽는 나라 만들기波兰:社会阅读习惯变迁
2현저하게 낮은 자국 독서량에 대응하여, 몇 주전 폴란드 최대 유력 일간지 가제타 뷔보르챠 (Gazeta Wyborcza)는 책 읽는 폴란드라는 새 사회 캠페인을 시작했다. 폴란드 국립도서관의 발표에 따르면 국민의 절반 이상이 전혀 책을 읽지 않거나 읽더라도 3페이지 이상을 넘기는 경우가 없다고 한다.几个星期之前,波兰知名大型日报《Gazeta Wyborcza》基于国内阅读风气低落,发起名为“Reading in Poland”的新社会运动,国家图书馆发表的报告指出,国内56%民众毫无阅读习惯,也无法阅读超过三页长的文件;社会因此开始讨论波兰的阅读文化,以 及这项危机背后的成因。
3폴란드의 독서문화가 어쩌다 이런 상황으로까지 오게 되었는지에 대한 토론이 활발하다. 이번 캠페인에는 각계의 공인들도 참여해 대중의 독서문화를 독려했다.国内不少公众人物都积极参与此事,呼吁社会开始阅读,網絡上出现一系列文章,论及人们为何对阅读兴趣缺缺,以及有何步骤可改变现状;其中一篇文章内,波兰散文作家Janusz Rudnicki怪罪教育部提供中小学的必读书籍清单:
4가제타지는 독서에 대한 대중의 흥미부재를 지적하며 이에 따른 해결책을 제시한 일련의 기사들을 실었다. 그 중 하나를 살펴보자.学校根本在闹鬼,若将学校比喻为歌剧,魅影肯定是“必读书籍清单”,光是书籍总数即非常可怕,其中至少半数未曾考量小学生阅读能力,完全没有必要纳入,读书变成虐待,这些书籍应该烧掉,也顺便烧掉教育部及制订这份清单的所有教师。
5작가 겸 수필가인 야누슈 루드니츠키(Janusz Rudnicki)는 교육부에서 만든 청소년 필수독서 목록을 강하게 비난한다. 학교가 무언가에 제대로 홀린 것 같다.相较于其他欧洲国家针对阅读习惯的研究报告,波兰现况确实令人不安,例如捷克及法国的报告指出,两国分别有83%及69%的民众过去一年至少读一本 书,波兰则只有44%民众表示过去一年曾接触书籍(包括食谱、文集和字典在内!)
6오페라에 비유하자면 “청소년 필수독서 목록”이란 유령에 홀렸다고나 할까. 목록의 수도 끔찍하게 많다.;其中最令人惊讶的一点,则是全国两成高知识份子(包括讲师及教师)过去 几年从未读书。
7굳이 초등학교를 들먹일 필요없이 목록의 절반은 읽을 필요가 없는 것들이다.
8아이들에게 그런것을 읽게 하는 것은 고문이나 다름없다. 전부 태워 버려야한다.国内博客亦加入讨论,Metzliszcze评论这份研究结果:
9아니, 태울려면 교육부와 이런 말도 안되는 목록을 만들어낸 선생들도 함께 불구덩이에 넣어야 한다. 다른 유럽 국가의 경우와 비교했을 때 폴란드 국민의 독서 실태는 더욱 암울하다.首先,我家里从不乏书籍可读,父母也不需要任何社会运动提醒,即明白阅读对孩童多么重要,因此我很难相信,有些人在一年365天之中,竟然找不到任何时间至少翻阅一本书,但国内却有56%的民众即为如此。
10가령 체코와 프랑스가 실시한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각각 83퍼센트, 69퍼센트의 국민이 작년 한해 적어도 한 권의 책을 읽었다고 한다.
11폴란드의 경우를 보자.他另提到:
12요리책, 사진책, 사전까지 억지로 포함해도 44퍼센트밖에 되지 않는 심각한 수치다!
13가장 충격적인 결과는 고학력자의 (교사, 교수 포함) 20퍼센트가 지난 몇 년간 단 한 권의 책에도 손을 대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14폴란드 블로거들도 하나 둘 의견을 내놓기 시작했다.还有什么话可说?
15이번 보고서에 대한 Metzliszcze라는 블로거의 생각을 소개한다. 우선 제가 자라온 환경을 설명할게요.这份研究自1992年固定执行以来,波兰固定阅读人口不断减少,让国家不久后将再度陷入文盲危机。
16저희 집에는 언제나 책이 가득했고, 부모님께서는 당신의 자녀에게 어떤 책을 권해야 하는지 알려 줄 수 있는 캠페인따위는 필요 없으셨죠.
17그저 읽으면 되었으니까요.Varia时常在網絡上撰写书评,很好奇这种现象原因为何:
18때문에 누군가에게는 1년 365일 동안 단 한권이라도 책을 읽을 기회도 갖기 힘들다는 보고서의 결과는 정말이지 믿기 힘들었어요.
19그래도 이런 결과가 나왔네요: 56 퍼센트의 사람들이 책 읽는 다는 단순한 행위를 어마어마한 “노력”을 들여야 비로소 하는 행동이라고 생각하고 있답니다.
20또한 그는,这个现象为何发生?
21추가로 보고서에 1992년(독서실태에 대한 체계적, 정기적 조사가 시작된 년도) 이래로 체계적인 독서 인구는 감소했고, 이제 머지않아 우리나라는 거듭난 문맹국이 될것이라는 말도 덧붙여야 하지 않을까요.
22자신의 블로그에 주로 서평을 올리는 바리아(Varia)는 무엇이 상황을 이지경으로 만들었는지 의문을 품는다. 어쩌다 이지경이 되었는가?我觉得主要是出自知识惰性,这种态度不只反映在低阅读率,电视黄金时段的热门影集亦然;要找到挑战观众思维的 电影也很难,我们太过纵容自己停止思考,供给大脑太多无意义、不需自省的事物。
23가늠해보면 역시 ‘지적게으름'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고 생각한다. 지적게으름은 비단 낮은 독서량 뿐만 아니라 황금 시간대 TV프로에서도 쉽게 간파할 수 있다.阅读是种要求很高的活动,读者需要花费力气,也必须在一段时间内专注于一件 事,但我们早该在学校和家庭学会这些事。
24상영되는 영화들도 죄다 ‘아무 생각없이' 멍하니 볼 수 있는, 다시 말해 우리의 지적능력에 전혀 자극을 주지 못하는 것들이다.
25대다수가 이같은 게으름의 타성에 무심히 젖어있으며, 자기성찰이라곤 눈곱만큼도 요구하지 않는 허섭스레기로 머리를 채우고 있다.
26물론 독서라는 행위는 한 가지(책)에 몰두할 수 있는 능력과 얼마간의 노력을 요구하는 까다로운 일이다.
27그러나 우리는 이미 집에서, 또는 학교에서 독서하는 법을 배우지 않았던가? 킨들매니아(Kindlemaniac)라는 또 다른 블로거는 방문객을 상대로 그들의 독서습관을 조사했다.另一位博客Kindlemaniac制作一份问卷调查,询问读者几个有关阅读习惯的问题,结果颇为引人注目,逾半数读者宣称一年阅读十本书以上,17%更高达50本以上!
28결과는 아주 놀라웠다.他写道:
29절반이 넘는 방문객이 연간 10권 이상 독서를 하며, 이 중 17퍼센트는 무려 50권 이상을 읽는다고 응답했다.
30제 블로그 방문객들께서 정기적으로 독서를 하신다니 매우 기쁩니다. 현 상황과는 정반대의 결과를 가져온 이번 설문조사를 설명해줄 수 있는 매우 실용적인 근거가 있습니다.看到这么多读者时常读书,实在令我很开心,我觉得背后还有很实际的原因,人们若拥有电子书阅读器,原本阅读量就较多,而这项工具会让他们对阅读更加着迷;许多Kindle用户应该也会发现,自从开始使用之后,阅读量比以前更多。
31바로 이북(e-book)리더기를 소유한 사람일 수록 독서를 많이 하는 경향이 있으며, 시간이 지날수록 독서에 더욱 몰두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32또한 재미있는 사실은 킨들(Kindle)[역자 주- 아마존의 전자책 단말기]로 전자책에 발을 들여 놓은 사람이 이전보다 훨씬 많이 독서를 하게 되었다는 점입니다.
33킨들매니아(Kindlemaniac)은 다음과 같이 글을 맺는다.他的结论是:
34제 블로그의 구독자들만 특이하게 현 세태에 역행한다고 할 수도 있겠죠.
35과연 그럴까?显然这个博客的读者习惯与主流相反。
36이 곳만 특별한 것이었을까?但波兰博客圈普遍都如此吗?
37하지만 다른 곳의 글을 살펴보면 현실은 또 그렇게 암울해 보이지는 않는다. 노북스(Nobookks)는,情况或许不如某些人想像那么糟,Nobooks表示:
38온라인 문학 사이트는 수많은 방문객들로 넘쳐난다. 이용자들은 자신의 가상 서재를 만들고, 읽고 싶은 책을 표시한다.文学网站每天都有数十万人流量,他们建立个人網絡图书馆,拣选自己想阅读的书籍;在波兰连锁书店Empiks里,也有大量书籍与漫画供人翻阅无数次(但出版商可不太开心),书市发展每年也愈来愈蓬勃。
39엠픽스(폴란드 체인 서점)에는 서서 책이며 만화를 읽는 고객들로 북적인다(물론 출판업계는 이를 달가워 하진 않겠지만). 매년 서점의 인기는 점점 늘어나고 있다.波兰博客指出,虽然国内人口阅读习惯不太乐观,但仍有希望,人们若相信網絡是分享知识与交流的新平台,还是有好消息,依据国内博客圈调查,超过 300万名15岁以上的波兰民众宣称每天阅读博客,也有逾30万孩童固定阅读博客、18万孩童自行经营博客,还有近16万孩童会在網絡留言讨论书籍。
40이렇듯 블로거들의 의견에 따르면, 폴란드 독서의 미래가 불투명해 보이는 듯 하지만 희망은 있다.
41인터넷을 지식 정보 공유의 새로운 도구로서 보는 이들에게 한 가지 희소식을 전해 주자면 폴란드 블로거 조사에 따르면 15세 이상의 300만명의 인터넷 사용자들이 매일 특정 블로그를 방문, 구독한다고 한다.
42게다가 30만명 이상의 아이들이 정기적으로 블로그를 구독하고 있으며, 그 중 18만명은 직접 자신의 블로그에 글을 쓰며, 16만명이 방문한 블로그에 리플을 단다고 한다.